‘하루 3분 네트워크 교실(아미노 에이지, 김현주, 영진닷컴)’ 참조

1) 수신처 IP 주소 파악

  • (IP 주소를 알고 있는 경우) IP 주소를 수동으로 입력해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음
  • (IP 주소를 모르는 경우) 도메인 명(Domain Name)을 이용하여 수신처의 IP 주소 파악

2) DNS

  • (도메인 명) 송신할 상대의 컴퓨터 이름
    • (예시) ‘http://’ 뒤에 오는 문자열
    • (특징) 다른 컴퓨터와 구별하기 위해 유일한 이름이어야 함
    • (관리 주체) 도메인 명은 IP 주소와 마찬가지로 ICANN이 관리함
  • (DNS) 도메인 명과 IP 주소를 대응시킨 시스템을 DNS(Domain Name System)이라고 함
    • (DNS 서버) 이름과 IP 주소의 대응 데이터베이스를 갖고 있는 DNS 서버에 문의하여 IP 주소를 입수
    • (DNS 서버 관리 주체) DNS 서버는 각 조직에 1개씩 있으며 그 조직의 도메인 명만 관리함
    • (IP 주소 입수 과정)
      • 사용자 애플리케이션은 도메인 명으로 수신처를 지정함
      • 자체 DNS 서버에 해당 도메인 명에 대응하는 IP 주소를 문의함
      • 자체 DNS 서버는 다른 조직의 DNS 서버에 다시 문의함
      • 자체 DNS 서버는 다른 조직의 DNS 서버로부터 입수한 IP 주소를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에 전달함

3) 데이터 전송 흐름

  • (송수신처 주소 결정) DHCP, ARP, DNS를 사용하여 4개의 주소 결정
    • (송신처 MAC 주소) NIC를 장치하여 자동으로 파악
    • (송신처 IP 주소) 수동으로 입력하거나 또는 DHCP에서 자동으로 할당 받음
    • (수신처 IP 주소) 사용자 애플리케이션이 수신처의 도메인 명을 결정하면 DNS로 IP 주소를 취득함
    • (수신처 MAC 주소) IP주소가 결정된 후 ARP에 의해 MAC 주소를 취득함

+ Recent posts